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,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6%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🚀1. 청년도약계좌란?
구분 | 내용 |
상품명 | 청년도약계좌 |
가입 대상 | 만 19세 ~ 34세 청년 |
납입 기간 | 5년 (60개월) |
월 납입 한도 | 최대 70만 원 (자유 납입 가능) |
정부 기여금 | 월 최대 6% 지급 |
이자소득 | 비과세 혜택 제공 |
가입 신청 방법 | 은행 앱 또는 영업점 방문 |
2.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구분 | 내용 |
나이 |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 * 병역 이행 기간(최대 6년) 제외 |
개인소득 |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 합산 소득 6,300만 원 이하 * 육아휴직급여, 군 장병급여 외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제외 |
가구소득 |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* 가구원: 본인, 배우자, 부모, 자녀, 미성년 형제·자매 포함 |
📌 기준 중위소득 250% (연간 소득 기준)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250% (연간) |
1인 가구 | 62,336,760원 |
2인 가구 | 103,684,650원 |
3인 가구 | 133,044,480원 |
4인 가구 | 162,028,920원 |
5인 가구 | 189,920,640원 |
6인 가구 | 216,839,430원 |
7인 가구 | 243,225,450원 |
[금융소득종합과세]
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
📌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 (2025년 적용)
개인소득 구간 | 월 납입액 | 정부기여금 구간Ⅰ | 정부기여금 구간Ⅱ | 월 최대 정부기여금 |
총급여 2,4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1,600만원 이하) |
40~70만원 | 24,000원 (6.0%) | 9,000원 (3.0%) | 33,000원 |
총급여 3,6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2,600만원 이하) |
40~70만원 | 23,000원 (4.6%) | 6,000원 (3.0%) | 29,000원 |
총급여 4,8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3,600만원 이하) |
40~70만원 | 22,200원 (3.7%) | 3,000원 (3.0%) | 25,200원 |
총급여 6,0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4,800만원 이하) |
40~70만원 | 21,000원 (3.0%) | - | 21,000원 |
총급여 7,5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6,300만원 이하) |
40~70만원 | - | - | - |
📌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안내
💡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하면,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납입(일시납입)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주요 내용
항목 | 내용 |
---|---|
납입 가능 금액 | 최소 200만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전액까지 납입 가능 |
일시납입 방식 | 가입자가 선택한 ‘월 설정금액’ 기준으로 매월 납입한 것으로 간주됨 |
월 설정금액 | 40만, 50만, 60만, 70만원 중 선택 (가입 후 변경 불가) |
📌 예시 (납입 방법 비교)
선택 기준 | 월 설정금액 | 전환기간 (개월) | 일시납입 금액 |
---|---|---|---|
정부 기여금을 최대한 받고 싶다면 | 40만원 | 32개월 | 1,280만원 |
은행 이자를 최대로 받고 싶다면 | 70만원 | 18개월 | 1,260만원 |
🔢 월 설정금액별 납입 가능한 일시납입 금액
월 설정금액 | 가능한 일시납입 금액 (예시) |
---|---|
40만원 | 200만, 240만, … 1,240만, 1,280만원 |
50만원 | 200만, 250만, … 1,250만, 1,300만원 |
60만원 | 240만, 300만, … 1,200만, 1,260만원 |
70만원 | 210만, 280만, … 1,190만, 1,260만원 |
💰 정부기여금 지급 방식
- 일시납입한 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한 번에 지급
- 정부기여금 규모는 다음 3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됨
- ① 월 설정금액
- ② 가입 기준 개인소득에 따른 매칭 비율
- ③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(일시납입금액 ÷ 월 설정금액)
- 📌 일시납입한 달의 다음 달 10영업일 이내 지급
🔄 추가 납입 가능 기간
-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끝난 후부터 신규 납입 가능
- 총 60개월(5년)에서 전환기간을 뺀 기간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추가 납입 가능
📌 마무리 정리
- ✅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납입 가능
- ✅ 최소 200만원 ~ 최대 전액까지 납입 가능
- ✅ 월 설정금액(40·50·60·70만원)에 맞춰 전환기간 설정
- ✅ 정부기여금도 한 번에 지급됨
- ✅ 일시납입 후 전환기간이 끝난 후 추가 납입 가능
📢 자세한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🚀
Tags:
금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