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의 ‘희토류 조이기’…한국 공급망의 가장 약한 고리를 건드렸다
중국의 ‘희토류 조이기’…한국 공급망의 가장 약한 고리를 건드렸다 중국 상무부가 희토류 원소·장비·기술 에 대한 수출통제를 추가로 확대했다. 새 규정은 희토류 **원소(예: 홀뮴·에르븀·툴륨 등)**뿐 아니라 재활용·정련·자석가공 관련 장비/기술 까지 포괄하며, 국방·반도체 용도는 개별 허가 심사 로 사실상 속도 제한을 건다. 중국이 가공·자석 분야에서 세계적 지배력을 가진 만큼(채굴보다 정련·가공 비중이 압도적) 글로벌 IT·전기차·방산까지 연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. ( Reuters ) 한국 기업들은 즉각 리드타임(납기) 지연·가격 변동·컴플라이언스 리스크 를 우려한다. 장비나 부품에 소량이라도 중국산 희토류가 들어가면 추가 허가 절차 가 필요해지고, 수출입 일정이 꼬일 수 있어서다. 삼성전자·SK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기업은 노광·식각·증착 공정 장비의 자석·합금·연마재 등에서 희토류 의존도가 존재하고, 영구자석 을 쓰는 전기차 서플라이체인(모터·구동계)도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. ( 네이트 뉴스 ) 왜 지금인가: 미·중 힘겨루기의 ‘맞불 카드’ 중국의 조치는 올봄 이후 이어진 희토류/전략광물 통제의 재강화 흐름 위에 있다. 중국은 2023~2025년 사이 갈륨·게르마늄·흑연·텅스텐 등 전략 소재를 단계적으로 통제해 왔고, 올해는 희토류 원소+기술 까지 보폭을 넓혔다. 이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와 상호작용하며 APEC 정상회의 등 주요 외교 이벤트를 앞둔 ‘지렛대’로도 작동한다. ( Reuters ) 한국의 노출도: 여전히 높은 중국 편중 한국의 희토류·전략광물 대중 의존도 는 구조적으로 높다. 2023년 기준 한국의 희토류 금속 수입의 95% , **희토류 화합물의 84%**를 중국에 의존했다는 분석이 있다. 2024년에도 핵심 원자재 대중 의존이 오히려 높아졌다는 통계가 나왔다. 즉, 단기간에 리스크를 상쇄하기 어려운 구조다. ( Korea Joongang Daily ) “새우등”이 되는 경로: 현장에서 생기는 세 가지 병목 ...